본문 바로가기

후아유

박정희 다카키 마사오와 김대중 도요다 다이쥬

반응형

              다카키 마사오와 도요다 다이쥬

이정희 통합진보당 후보가 ‘다카키 마사오’(박정희)라는 이름을 거론했을 때 불현듯 김대중 전 대통령이 떠올랐다.

살아생전 두 사람은 서로간 반목의 시간을 보내야 했고, 어쩌면 인생 최대 라이벌로 살아왔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장기집권을 위해 권력을 휘두르고 독재를 일삼았다. 김 전 대통령은 음모와 술수·연금과 구금 등으로 가혹한 탄압을 받았다.

산업화 세력의 상징인 박 전 대통령과 민주화 세력의 상징인 김 전 대통령은 아이러니컬 하게도 일본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이 있다.

 

일제 강점기 태어났던 두 사람(박정희 1917년, 김대중 1924)은 우선 ‘일본어’에 능통하다.

두 사람이 일본어에 능통했던 것은 당시 한국어 말살 정책을 펼쳤던 일본이 한국 학교에서 한글 교육을 폐지하고, 일본어를 강제로 사용하고 배우도록 했기 때문이다.

일본은 또 식민지 통치를 본격화하면서 민족말살정책을 펼쳤다. 그 대표적인 것이 ‘창씨개명’. 한국인의 이름과 성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했다. 박 전 대통령 일본 이름은 ‘다카키 마사오’. 박 전 대통령은 1942년 일본 육사에 편입해 졸업을 한 뒤 1944년 육군 소위로 임관할 때까지 다카키 마사오로 불렸던 것으로 전해진다.

김 전 대통령 일본 이름은 ‘도요다 다이쥬’. 김 전 대통령은 일본을 방문하면 목포상고 재학시절 담임선생이었던 무쿠모토 이사부로씨에게 전화를 걸어 일본말로 “‘先生,豊田です(선생님, 도요다입니다)’라고 말했다”고 일본의 한 언론이 소개한 적도 있다.

고등학교 졸업 후 교편 생활을 했던 박 전 대통령은 그후 일본 장교로, 김 전 대통령은 일본인이 세운 해운회사로 취업했다.

비록 시대가 달랐지만 두 사람은 일본 천황(일왕)과도 관계가 있다. 김 전 대통령은 평민당 총재시절인 지난 89년 1월 일본 히로히토 천황(1901년 4월 29일 ~ 1989년 1월 7일)이 작고하자 주한일본 대사관저 분양소를 찾아 90도 허리굽혀 조문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한바탕 곤혹을 치렀다.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박 전 대통령이 만주국의 장교였을 때 천황에게 충성을 맹세한 그 천황이 히로히토 였다.

두 사람의 터닝포인트도 일본과 그 궤를 같이했다. 박 전 대통령은 일본 차관을 들여와 한국 경제 발전의 발판을 마련했고, 김 전 대통령은 1973년 일본에서 납치된 후 구사일생으로 살아나면서 민주화 화신으로 불렸다.

두 사람의 인생 역정은 살아온 방식과 환경이 달랐지만 삶만은 ‘한국 현대사의 축소판’이다. 일제 강점기 때 태어난 두 사람은 굴곡 많은 삶과 지도자의 파란만장한 영욕의 세월을 함께 살아왔다. 거기에는 수많은 사건과 사람들이 얽히고 설켜 있다.

박 전 대통령은 부하의 총탄에 맞아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졌다. 김 전 대통령은 살아생전 용서하고 화해하며 모든 것을 털고 갔다.

현재 두 사람은 동작동 국립묘지에 나란히 누워 있다.

이정희가 잠든 다카키 마사오를 깨우자, 그 반대편에선 도요다 다이쥬를 깨우며 흔들 조짐이다.

도요다 다이쥬 이름만으로 김 전 대통령을 친일파로 몰아부친다면 얼마나 역설일까.

일제강점기 친일은 그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었던 바로 우리의 삶이기도 했다.

이제 '부관참시' 그만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