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BC X파일 썸네일형 리스트형 박근혜,지만, 근령 그리고 신동욱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미니홈피에 올라온 비방 글은 박 전 대표의 동생 박근령 전 육영재단 이사장(55)의 남편 신동욱 씨(41·전 백석문화대 교수)가 작성한 것으로 27일 밝혀졌습니다. 검찰에 따르면 신씨가 올린 글은 ‘박근혜 측이 육영재단을 강탈했다’, ‘신동욱을 납치하려 했다’ 는 등의 내용이었습다. 이 보도를 접하면서 충격보다는 정말 어이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는 제부인 신씨가 박 전 대표를 비방한 게 아닙니까. 27일 오전 8시25분경 박근령 전 이사장에게 전화를 걸었습니다. 전화를 받지 않았습니다. 그의 남편 신씨가 받았습니다. "아내와 함께 지방에 내려와 있다"는 신씨는 그 보도 내용을 전혀 몰랐습니다. 제게 "기사 원문을 읽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읽어줬습니다. 그리곤, 그 기사가.. 더보기 "김정일 가짜다" 시게무라 교수 이제 그만합시다. 시게무라 교수 툭 하면 김정일 가게무샤(대역) 제기 이번에는 미국 ABC방송 인터뷰서, 새로운 사실없고, 황당한 팩트뿐 미국의 ABC방송 인터넷판은 1일 서울발 기사에서 또다시 이러한 김 위원장의 대역에 관한 주장들을 정리해 보도하면서 지난 8월 북한에 억류됐던 여기자 2명의 석방을 위해 평양을 방문했던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가짜 김정일'을 만났을 수도 있다는 한 일본 교수의 주장을 소개했습니다. 연합뉴스 마이니치 신문 기자출신으로 현재 와세다대 교수인 시게무라 도시미쓰는 김 위원장이 2003년 사망했을 수도 있으며 현재 공식 행사에 등장하고 있는 인물은 대역(가게무샤)이라고 주장, 국내 언론에서도 이런 주장이 몇차례 보도된 적이 있습니다. 그는 김 위원장 사망과 대역 근거로 △2004년 1월부터 3.. 더보기 클린턴이 만났던 김정일은 가케무샤?(대역) 가케무샤 김정일 최근 일본에선 지난 4일 미국의 클린턴 전 대통령이 만났던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가케무샤(대역)가 아니냐는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일본의 학자 중 이런 주장을 펴는 사람이 있습니다.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5년 전인 2003년에 사망했으며 지금 와병설이 도는 김정일은 대역이다’ 지금부터 사진을 비교해보세요. 일본 학자의 주장이 황당하기도 하고, 또 일리 있기도 하고, 그건 각자의 판단에 맡겨져야죠. 김 위원장 사망과 대역설을 주장하는 사람은 일본의 대표적인 북한 전문가 시게무라 도시미쓰(64) 일본 와세다 대학 교수 입니다. 그는 김 위원장 사망과 대역 근거로 △2004년 1월부터 3개월 가량 김정일 근황에 대해 불분명한 보도만 계속됐고 △사망 전인 2000년 남북정상회담,.. 더보기 아시나요! 북한 루니 정대세 뿌리가 경북 의성 정대세 뿌리를 찾아서 ------------------------------------------------- 정대세 할아버지, 아버지 본적은 경북 의성군 금성면 운곡리 정대세 국적 조선(북한)으로 추정, 민족 가족사 비극 '아시아의 웨인 루니' 정대세(25.가와사키). 원톱 스트라이커로 활약하며 북한의 공격을 이끈 정대세는 일본 프로축구에서 올 시즌 6골을 터뜨린 골잡이 입니다. 북한 축구가 44년 만에 월드컵 본선 무대에 서게 된 것은 정대세 활약이 컸습니다. 정대세는 재일동포 3세 입니다. 그런 정대세의 '뿌리'가 남한인 것을 아십니까. 6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갈까요. 정대세(왼쪽)가 18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의 킹파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0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B.. 더보기 굿바이 미사와, 그리고 이왕표 굿바이 미사와 미츠하루 역도산, 김일-이왕표, 자이언트 바바-미사와 14일 새벽 인천 을왕리에 있었습니다. 이날 12시 30분쯤 일본의 한 지인으로 부터 전화가 왔습니다. "정상! 미사와 작고했습니다." 취기가 오른 상태라, 처음엔 누가 작고 했는지 못 알아 들었습니다. 그로부터 "노아 대표 미사와!"라는 얘기를 듣는 순간, 술이 '확' 깨더군요. 미사와 미츠하루의 명복을 빕니다. 미사와는 일본 프로레슬링 재건을 위해 온 몸을 불사르다 링에서 최후를 맞이했습니다. 미사와는 13일 오후 8시45분께 히로시마시 중구 현립종합체육관에서 열린 프로레슬링 '노아 히로시마' 메인 이벤트를 하던 중 머리를 다쳐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사망했습니다. 미사와의 추억 미사와는 특별한 추억이 있습니다. 저는 지난 2006년 3.. 더보기 굿바이 미사와, 그리고 이왕표 굿바이 미사와 미츠하루 역도산, 김일-이왕표, 자이언트 바바-미사와 14일 새벽 인천 을왕리에 있었습니다. 이날 12시 30분쯤 일본의 한 지인으로 부터 전화가 왔습니다. "정상! 미사와 작고했습니다." 취기가 오른 상태라, 처음엔 누가 작고 했는지 못 알아 들었습니다. 그로부터 "노아 대표 미사와!"라는 얘기를 듣는 순간, 술이 '확' 깨더군요. 미사와 미츠하루의 명복을 빕니다. 미사와는 일본 프로레슬링 재건을 위해 온 몸을 불사르다 링에서 최후를 맞이했습니다. 미사와는 13일 오후 8시45분께 히로시마시 중구 현립종합체육관에서 열린 프로레슬링 '노아 히로시마' 메인 이벤트를 하던 중 머리를 다쳐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사망했습니다. 미사와의 추억 미사와는 특별한 추억이 있습니다. 저는 지난 2006년 3.. 더보기 이 놈 공개 수배 군포여대생실종 사건이 공개수사로 전환되면서 유력한 용의자로 보이는 남성의 사진이 공개되었습니다 . 이 놈의 마스크낀 얼굴을 공개합니다. 이 사진은 5일 안산상록경찰서는 지난달 19일 집을 나섰다 소식이 끊긴 군포시 대야미동에 거주하는 대학생 A양(21)에 대해 공개수사를 벌이기로 하면서 공개한 얼굴입니다. A양은 19일 오후 3시 7분께 군포 보건소에서 일을 보고 나선 후 소식이 끊겼으며 18일째 연락이 되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가족들은 19일 오후 11시30분께 경찰에 신고했으며 경찰은 실종 신고가 접수된 즉시 비공개로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수사 결과 A양은 오후 3시 7분께 군포 보건소를 나선 후 5.2㎞ 가량 떨어진 안산시 건건동에서 오후 3시37분께 휴대폰이 끊겼으며, 이후 오후 7시30분께 .. 더보기 이 놈 공개 수배 군포여대생실종 사건이 공개수사로 전환되면서 유력한 용의자로 보이는 남성의 사진이 공개되었습니다 . 이 놈의 마스크낀 얼굴을 공개합니다. 이 사진은 5일 안산상록경찰서는 지난달 19일 집을 나섰다 소식이 끊긴 군포시 대야미동에 거주하는 대학생 A양(21)에 대해 공개수사를 벌이기로 하면서 공개한 얼굴입니다. A양은 19일 오후 3시 7분께 군포 보건소에서 일을 보고 나선 후 소식이 끊겼으며 18일째 연락이 되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가족들은 19일 오후 11시30분께 경찰에 신고했으며 경찰은 실종 신고가 접수된 즉시 비공개로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수사 결과 A양은 오후 3시 7분께 군포 보건소를 나선 후 5.2㎞ 가량 떨어진 안산시 건건동에서 오후 3시37분께 휴대폰이 끊겼으며, 이후 오후 7시30분께 .. 더보기 역도산을 추모하며 12월15일은 무슨 날일까요. 결혼기념일, 사랑하는 사람과의 첫 만남, 그리고 생일과 추모일 등. 12월 15일이 기념일로 자리잡은 사람도 있을 것이고, 아닌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허나, 격투기를 좋아하는 올드팬들은 12월15일이라면 그 때 그 사건을 떠올릴 것입니다. 아마도 한국인 보다 일본인이 이 날을 더 기억하겠죠. 이날은 재일한국인 역도산이 일본 야쿠자 칼에 찔려 죽은 날 입니다. 역도산은 1963년 12월8일 야쿠자 칼에 찔렸고, 일주일 뒤인 15일 사망했습니다. 그의 사망이 잊혀지지 않는 것은 일본에서 12월15일만 되면 역도산 추모일이라 해서 특집 방송이 편성되고, 언론도 이에 대한 보도를 잇따라 내놓고 있기 때문입니다. 조선인 역도산이 사망한 지 45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일본에서 영웅으로.. 더보기 역도산을 추모하며 12월15일은 무슨 날일까요. 결혼기념일, 사랑하는 사람과의 첫 만남, 그리고 생일과 추모일 등. 12월 15일이 기념일로 자리잡은 사람도 있을 것이고, 아닌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허나, 격투기를 좋아하는 올드팬들은 12월15일이라면 그 때 그 사건을 떠올릴 것입니다. 아마도 한국인 보다 일본인이 이 날을 더 기억하겠죠. 이날은 재일한국인 역도산이 일본 야쿠자 칼에 찔려 죽은 날 입니다. 역도산은 1963년 12월8일 야쿠자 칼에 찔렸고, 일주일 뒤인 15일 사망했습니다. 그의 사망이 잊혀지지 않는 것은 일본에서 12월15일만 되면 역도산 추모일이라 해서 특집 방송이 편성되고, 언론도 이에 대한 보도를 잇따라 내놓고 있기 때문입니다. 조선인 역도산이 사망한 지 45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일본에서 영웅으로..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